흉수와 농흉의 정의, 진단 방법, 치료 방법
1. 흉수 흉수란 흉막 표면으로부터 간질액이 과도하게 삼출 또는 여출되어 흉막강 내에 액체가 축적되는 상태를 말한다. 흉수는 그 자체가 질병이라기보다는 전신 질환이나 흉막 질환에 이차적으로 오는 증상의 하나이다. 흉수는 흉막 병변과는 상관없이 전신적인 요인에 의한 흉막액 생성과 흡수의 변화로 생기는 흉수가 있고, 흉막 표면이나 림프관의 병변으로 생기는 흉수가 있다. 전신적인 요인에 의한 흉수는 울혈성 심부전, 간경변, 신증후군, 점액 부종, 복막 투석, 저단백질 혈증, 메이그스 증후군, 유육종증 등의 원인이 있다. 원인 중 울혈성 심부전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이때 생기는 흉수는 보통 양측성이다. 흉막 표면에 문제가 생겨 나타나는 흉수는 흉막 염증으로 단백질에 대한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거나 림프관 병..
2022. 11. 6.
종격동의 정의와 종격동 종양
1. 종격동의 정의 종격동(mediastinum)이란 흉곽 내에서 양측 폐를 분리하고 있는 조직과 기관들을 말한다. 종격동 위쪽으로는 흉곽 입구가 있고 밑으로는 횡격막이 존재하고 뒤쪽으로는 척추가 존재한다. 종격동은 3가지 구획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데, 전상종격, 중간 종격, 후종격으로 분류한다. 전상종격은 심막 및 전심막반전부의 앞쪽에 위치한 부위로 흉선, 대동맥궁과 그 분지들, 대정맥들, 림프관 등을 내포하고 있는 구획이다. 중간 종격은 심막강이 존재하는 부위로 심장과 심막, 횡격막 신경, 주 기관지 및 기관분지전, 폐문부 등이 존재한다. 후종격은 심막과 후심막반전부위 뒤쪽에 위치한 부위로 식도, 미주신경 및 교감신경, 하행 대동맥, 척추 부위 림프샘과 지방소성조직 등을 내포한다. 2. 종격동 종양 ..
2022.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