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흉부외과학

종격동의 정의와 종격동 종양

by frozen-b 2022. 11. 4.
반응형

 

1. 종격동의 정의

종격동(mediastinum)이란 흉곽 내에서 양측 폐를 분리하고 있는 조직과 기관들을 말한다. 종격동 위쪽으로는 흉곽 입구가 있고 밑으로는 횡격막이 존재하고 뒤쪽으로는 척추가 존재한다. 종격동은 3가지 구획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데, 전상종격, 중간 종격, 후종격으로 분류한다. 전상종격은 심막 및 전심막반전부의 앞쪽에 위치한 부위로 흉선, 대동맥궁과 그 분지들, 대정맥들, 림프관 등을 내포하고 있는 구획이다. 중간 종격은 심막강이 존재하는 부위로 심장과 심막, 횡격막 신경, 주 기관지 및 기관분지전, 폐문부 등이 존재한다. 후종격은 심막과 후심막반전부위 뒤쪽에 위치한 부위로 식도, 미주신경 및 교감신경, 하행 대동맥, 척추 부위 림프샘과 지방소성조직 등을 내포한다. 

 

2. 종격동 종양

종격동의 질환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지만 우선 종격 종양과 종격낭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종격 종양, 종격낭은 임상적으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병변으로 다양한 종류의 종양 및 낭이 발생할 수 있지만 크게 일차성 병변과 이차성 병변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성 병변으로는 주로 신경성 종양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는 흉선종, 낭, 림프종 등의 순으로 빈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종격동의 구획 중 종양,낭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구획은 전상종격이며 흉선종, 림프종 생식세포종양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구획이다. 또한 다른 부위에 비해 전상종격은 악성종양의 발생빈도가 높다. 연령에 따라서는 성인에서는 흉선종과 같은 종양이 많이 발발하고 종양이 생겼을 때 악성 종양일 확률은 25% 정도이다. 하지만 소아에서는 악성 종양일 확률이 성인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며 주로 림프종, 악성 신경성 종양 등이 생길 가능성이 크고 흉선종은 소아에서는 보기 드문 질환이다. 

종격동 종양은 성인에서는 대부분 뚜렷한 증상이 없이 흉부 x-ray 사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증상이 있는 경우라면 종양 부위 통증, 기침, 호흡 곤란 등이 흔한 증상을 이룬다. 악성일 경우 침범 부위에 따라 여러 가지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전신 증상을 일으키는 종양 중 하나인 흉선종은 중증근무력증을 비롯하여 적혈구 재생불량성 빈혈, 저감마글로불린혈증 등 많은 질환을 일으키는 종양이다. 또 다른 종양인 신경모세포종에서는 고혈압,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종격동 종양의 진단 방법으로는 흉부 x-ray 사진, CT 촬영 등의 방사선 검사로 종양의 유무를 진단할 수 있고 혈청 및 요검사, 침 흡인 생검법 등의 검사를 실시하여 종격동 종양을 진단할 수 있다. 이렇게 종양이 진단되면 종양의 조직학적 종류와 위치에 따른 치료 방침을 수립한다. 일반적으로 종격동 종양은 수술로 인한 사망률이 1%로 매우 낮고 양성 종양일지라도 점점 커지면서 심각한 압박 증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절제가 권장된다. 


종격동 종양 중 하나인 흉선종은 소아에게서는 드물고 성인에서는 모든 연령층에 걸쳐 발발하는 질환으로 특히 20~40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 빈도상 성별의 차이는 없다. 이 질환은 전상종격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고 흉선종의 악성 여부는 조직학적 기준보다 주위 조직의 침입성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질환에 걸린 환자들의 반 정도는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다. 하지만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은 흉통, 호흡 곤란, 객혈, 기침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악성일 경우에는 주위 장기 침범에 따른 압박감도 호소할 수 있다. 이 질환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중증근무력증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중증근무력증은 신경 전달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근력의 약화와 근력 장애, 근육의 피로감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의 진단 방법은 흉부 x-ray 사진이나 전신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림프종이 의심될 경우 흉강경이나 종격동 절개술 등을 이용한 생검을 실시한다. 흉선종의 치료는 수술적 절제가 원칙이다. 수술은 정중흉골절개술을 통해 시행한다. 종양을 절제한 후에도 이소성 흉선조직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종격동의 지방윤문상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흉선종 제2기와 3기일 경우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해주며, 제4기 병변에서는 방사선 요법에 화학 요법까지 병행하기도 한다. 

 

폐에 좋은 영양제 추천 - 폐 섬유화와 폐렴을 예방하는 단 하나의 방법

폐에 좋은 영양제 추천 요즘 코로나 19와 독감이 유행이라 폐 건강을 신경쓰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폐 건강을 지키기 위해 어떤 영양제를 먹으면 좋은지, 폐에 좋은 영

medi-class.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