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세 비법 타파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총 정리 - 연말정산 절세하는 방법

by frozen-b 2022. 12. 15.
반응형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방법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제 2022년도 어느덧 마무리를 해야할 시기가 온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다가오는 2023년 연말정산을 준비해야 할 시기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연말정산,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연말정산을 간편하게, 한 눈에 파악하실 수 있도록 하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 가져 보겠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근로자라면 매월 받는 월급에서 원천징수하여 세금을 매기게 되는데 이 때 낸 세금에 대하여 정확하게 따져보고 더 낸 세금은 없는지, 덜 낸 세금은 없는지 파악하는 연말정산을 한 번에 도와주는 서비스 입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본인 인증을 통해 본인이 낸 세금이나 신용카드, 현금 내역, 보험이나 통장 내역 등을 한 번에 살펴 볼 수 있는 서비스이지만, 이 서비스를 제대로 사용할 줄 알아야 연말정산에서 낸 세금을 돌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우리가 낸 세금, 돌려받는 것이 훨씬 좋겠죠? 지금부터 하나 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방법

 

홈택스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우선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위해서 홈텍스 홈페이지로 들어가야 합니다. 홈텍스에서 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꼭 홈텍스 홈페이지를 들어가셔야 합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로그인 창이 있는데 로그인을 해 줍니다. 본인 명의의 공인 인증서로 로그인 해주시면 됩니다.
로그인 후 홈페이지 하단에 자주 찾는 메뉴칸에 보시면 연말정산 미리보기,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일괄제공 이라는 아이콘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칸으로 들어오시면 우선 소득과 세액공제 자료를 조회하실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만약 다니시는 회사나 사업체에 소득 확인 및 동의 신청서를 제출하신 분이라면 일괄제공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만약 신규 입사자나 연말정산 귀속년도 기간에 직장을 이직하신 분이라도 근로자로써 본인이 일한 모든 개월을 선택하여
조회해주시면 됩니다. (예시 : 7월 입사자인 경우 7,8,9,10,11,12월 선택)

모든 자료를 확인하셨다면 한번에 내려받기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 받아주시면 됩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만약 연말정산 일괄제공이 동의되지 않아 제출이 불가능할 경우 소득,세액 공제 자료를 직접 제출하셔야 합니다. 이 때 소득, 세액 공제 자료를 직접 내려받기 하셔서 제출해 주시면 됩니다.
https://blgo.mediclass.com/7?category=1060050

2.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신청 기간, 수정 및 제출 기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의 근로에 대한 세액 공제를 파악하는 서비스입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아직 1월이 되지 않아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확인 탭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의 자료 제출 기간은 2023년 1월 1일 부터 1월 7일까지 가능합니다.

만약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해 1월 7일 22시 까지 제출하지 못하는 경우, 추가 자료 제출 기간이 주어진다. 추가 자료 제출 기간은 1월 18일 22시까지 제출 가능하고 수정도 그 때까지 가능하다고 하니 너무 조급하게 마음먹지 말길 바랍니다.

클릭 몇 번으로 모든 세액 자료를 찾아서 제출만 하면 끝이라니 아주 편리한 서비스 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안심할 수 없죠. 연말정산 절세하는 비법 한번 알아볼까요?

 

3.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하여 절세하기

1. 인적 공제 이용하기


인적 공제란 납세자 본인과 그 가족 등에 관한 인적 사항을 고려하여 과세소득에서 일정액을 공제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자녀나 소득이 없는 부모를 모시고 사는 가정이라면 당연히 생활비가 더 많이 들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인적 사항을 고려하여 세금 혜택을 주는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인적 공제는 소득 공제인 만큼 만약 부부라면 부부 중 소득이 높은 쪽이 인적 공제를 신청하는 것이 과세구간에서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가정의 구성원 중 연간 소득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1명당 150만원의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 - 연말정산 세액 공제 및 월세공제 조건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 안녕하세요~ 다가오는 연말정산 시즌에 맞춰 절세하기 위해 노력하고 계시는 여러분을 위한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월세로

medi-class.com

 

2. 의료비 공제 이용하기

 

의료비는 병원에서 질병의 치료를 위해 총 급여액의 3% 이상의 금액을 사용한다면 초과된 금액에 대하여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 점을 이용하여 가족 구성원 중 급여액이 조금 더 낮은 사람이 의료비 공제를 신청하는 것이 세금을 많이 돌려 받을 수 있을 것 입니다.

 

 

3. 청약 통장 이용하기

 

청약 통장에 월 20만원씩 넣는다면 연 240만원이 됩니다. 연말정산에서는 연 240만원 한도에서 최대 40%의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95~100만원을 소득 공제로 받을 수 있습니다.

아직 청약통장을 만들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지금이라도 청약통장 개설하셔서 돈을 넣으셔도 무방합니다. 월마다 꼬박꼬박 넣지 않아도 한 번에 240만원을 넣으셔도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으니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 청약통장 소득공제는 무주택 세대주, 가족이 있는 경우 동거하는 사람까지 무주택자인 경우, 연간 급여액이 7,000만원 이하인 분들이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다고 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청약통장 소득공제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들어가시면 '주택 마련 저축' 이라는 칸이 있는데 클릭하시면 본인이 가입한 청약통장 내역이 나오고 통장 금액 내역까지 상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만약 청약통장 내역이 나오시지 않거나 소득공제 대상자가 아니라고 뜨신다면 통장이 본인 소유인지 한 번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본인 소유가 아닌 통장은 소득공제가 되지 않으니 꼭 주의 부탁드립니다!

 

 

 

4. 월세 연간 소득공제

본인이 살고 있는 집이 월세라면 월세액 750만원 내에서 최대 12% 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최대 620,000원 정도 소득 공제가 가능하니 꼭 한 번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죠?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월세액 세액공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들어가시면 주택자금/월세 칸에 들어가셔서 내 월세액이 세액공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으니 꼭 확인하시고 공제 받아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적용대상에는 연간 총 급여액 7000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 본인이 살고 있는 집이 전용 85제곱 미터 이하인 집, 시가 3억 이하의 임차주택이여야 적용이 가능하며 임대차 계약서상의 주소와 본인 주민등록상의 주소가 일치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방법과 절세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절세하는 방법은 많지만 생각보다 우리에게 적용될 만한 방법은 많이 없어서 아쉬웠는데요? 이 방법 말고도 다른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서 연말정산,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바로 가기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wq?w2xPath=/ui/pp/index.xml&tmIdx=0&tm2lIdx=&tm3lIdx=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부모급여 신청 방법 - 2023년 더욱 확대된 부모급여 혜택 총정리

부모급여 신청 방법과 혜택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3년 새롭게 개편되는 부모급여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꾸준히 출산율이 저조해지

medi-class.com

 

 

반응형

댓글